아래는 파주 보광사의 주지스님의 말씀이신데요.
마음이 흔들리는 분들에게 좋을 것 같습니다 :)
그래도 회사와 도를 닦는 것과는 좀 다른 것 같네요... ^^
못생긴 나무가 산을 지킨다.
산중에 있는 나무들 가운데
가장 곧고 잘생긴 나무가
가장 먼저 잘려서 서까래 감으로 쓰인다.
그 다음 못생긴 나무가
큰 나무로 자라서 기둥이 되고
가장 못생긴 나무는 끝까지 남아서
산을 지키는 큰 고목이 된다.
못생긴 나무는
목수 눈에 띄어 잘리더라도
대들보가 되는 것이다.
너희들도 산중에
수행하는 사람이 되려면
가장 못난 사람,
재주없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그래야 산을 지키는 주인이 되고
불교계의 거목이 되는 것이다.
부디 초발심에서 물러나지 말아야 한다.
- 효림 스님의 《힘든 세상, 도나 닦지》 중에서 -
마음이 흔들리는 분들에게 좋을 것 같습니다 :)
그래도 회사와 도를 닦는 것과는 좀 다른 것 같네요... ^^

못생긴 나무가 산을 지킨다.
산중에 있는 나무들 가운데
가장 곧고 잘생긴 나무가
가장 먼저 잘려서 서까래 감으로 쓰인다.
그 다음 못생긴 나무가
큰 나무로 자라서 기둥이 되고
가장 못생긴 나무는 끝까지 남아서
산을 지키는 큰 고목이 된다.
못생긴 나무는
목수 눈에 띄어 잘리더라도
대들보가 되는 것이다.
너희들도 산중에
수행하는 사람이 되려면
가장 못난 사람,
재주없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그래야 산을 지키는 주인이 되고
불교계의 거목이 되는 것이다.
부디 초발심에서 물러나지 말아야 한다.
- 효림 스님의 《힘든 세상, 도나 닦지》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