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 FMI 가족캠프

잡담 2013. 3. 24. 21:12

2013년 3월 이천 FMI 1박2일 가족캠프에 다녀왔습니다.

그다지 큰 기대를 안하고 갔는데, 우선 숙소가 시설이 괜찮네요.

골프연습장, 탁구장, 노래방, 축구장, 놀이방 등등...






미니정원 만들기와 쿠키하우스 만들기 체험.

체험은 유아들이 집중하기에는 무리가 있어서인지 옆에 놀이터까지...



밥도 괜찮았고, 애들이 좋아하는 부페도 저녁에 나왔네요.

밤에는 공연도...


다음날에는 돌아가는 길에 놀다가라고 테르메텐 티켓까지 챙겨주어서 완벽한 나들이를 할 수 있었습니다~


AND

팀내에서 node.js에서의 dbms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할 일이 있어서 정리해봤습니다.


AND

jquery 내부 소스를 보면 이런 코드가 많다.


jQuery.each("a b c d e".split(" "), function( i, name ) {
        // do something
});

처음에는 귀찮게 뭐 이런걸다...란 마음으로 봤는데, 짜다보니 중복되는 코드를 상당히 줄일 수가 있어서 좋네.

예를 들면,
$("#a").text($.temp.a);
$("#b").text($.temp.b);
$("#c").text($.temp.c);
$("#d").text($.temp.d);
$("#e").text($.temp.e);

이런 스타일을 아래와 같이 줄여 버릴 수 있다.

jQuery.each("a b c d e".split(" "), function( i, n ) {
        $("#"+n).text($.temp[n]);
});

AND

한참 지났지만, logging 차원에서...

한장에 70만원은 아니고 스카이박스 한방에 70이라는 이야기임. 그래도 맨정신으로는 가기 힘든 가격... ㄷㄷㄷ

"cfile2.uf@120F13374FB609E214C349.jpg"


내부는 마치 콘도 같은 느낌... MT온 느낌으로 관람을 하면 될듯!

"cfile8.uf@161321364FB60A0D040DFE.jpg"


사실 TV로 보는것 보다는 잘 안 보이고, 응원석과도 거리가 있다는 단점이 있음.

"cfile25.uf@180642364FB60A301A4B8D.jpg"

그래도 다 같이 모여서 응원한다는 점, 쉽게 와볼수 없는 스카이박스라는 점, 다른 팀들에게 방해받지 않고 경기를 볼 수 있다는 점 등등 장점이 많으므로 스카이박스도 꽤 괜찮은 듯 합니다~


AND

4월26일 목요일에 월차내고 SW공학센터에 다녀왔습니다.


아래 사진은 광역 슬립 스킬을 시전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런 대규모 강의에 익숙하지 않다보니 본의아니게 졸립게 만들어 들인듯 합니다. 아니면 전날 디아블로3 클로즈베타 시작일이라서 그런것이라 위로를...


ps. 이런 자리를 만들어준 강승준 책임, 땡큐~


AND

몇 주전에 기다리고 기다리던 jQuery mobile 1.1.0 stable 버전이 릴리즈 되었습니다. ( http://jquerymobile.com/blog/2012/04/13/announcing-jquery-mobile-1-1-0/ )

이거저거 바뀐 부분도 많지만, 개인적으로 흥미가 가는 부분은 transition 부분입니다.
transition이 부드럽고 빨라졌다고 써져 있긴 하지만, 실제로는 android에서의 transition은 거의 포기한 것과 마찬가지로 보입니다. 특히 slide 효과의 경우는 fade효과가 곁들여져 있는게 좋은지 없는게 좋은지는 device 혹은 상황마다 다르니 사용자가 알아서 써라!라는 뜻에서 slidefade라는 effect가 추가되었습니다.

slide를 쓸지 slidefade를 쓸지는 demo페이지만 해당 device에서 돌려봐도 금방 파악할 수 있는 문제이니, 잡설은 이정도에서 그치고, transition 코드 상에서의 흥미로운 변화를 살펴보도록 하죠.

1.1.0 RC2까지만 해도 transition handler는 1개만 존재했었는데, 1가지 종류의 handler로는 무리가 있는듯하여 2가지 종류의 default handler를 추가했습니다. 바로 sequential handler와 simulataneous handler입니다.
   
jquery mobile의 transition의 동작은, 다음과 같습니다. (내부함수명 기준)
startOut --> doneOut --> startIn --> doneIn

함수명에서 유추가능하듯이 startOut은 사라질 페이지에 대해 effect를 주는 함수이며, doneOut은 해당 effect가 끝나는 시점에 수행되서 마무리해주는 함수, startIn은 새로 전환되는 페이지에 effect를 주는 함수이고 doneIn은 새 페이지에 대한 effect가 끝날때 호출되는 함수입니다.
즉, page1에서 page2로 전환이 일어난다고 가정하면, 지금 말씀드린 순서로 수행될 경우에는 page1이 모두 사라지고 나서 page2가 나타나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sequential입니다.
그럼 simultaneous는 말그대로 동시에 모든 effect가 일어나는 것입니다. page1의 사라지는 효과와 page2의 나타나는 효과가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죠.

아래 코드를 보시면, jqm 내부적으로 앞에서 이야기드린 두가지 handler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generate the handlers from the above
var sequentialHandler = createHandler(),
    simultaneousHandler = createHandler( false );

기본적으로는 sequential handler를 쓰지만,

// Make our transition handler the public default.
$.mobile.defaultTransitionHandler = sequentialHandler;

slide transition에 대해서만 simultaneous handler를 쓰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Use the simultaneous transition handler for slide transitions
$.mobile.transitionHandlers.slide = $.mobile.transitionHandlers.simultaneous;

이정도만 이해하시면, 두 가지 핸들러를 자유자재로 선택해서 사용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AND

IT의 불모지 우리나라에서 꾸준히 사랑받아온 python3 책이 version up 되었습니다.

기존 내용 중 부족한 부분들도 여러군데 보강하였고, 유용한 모듈들도 상당수 추가되었습니다. 책을 받아보니 첫쇄보다 상당히 두꺼워졌네요~

항상 모든 일에 열정을 다하는 우상정선임, 최동진선임, 박찬규사장님 덕에 제가 항상 묻어갑니다.

http://www.yes24.com/24/goods/6687985?scode=032&OzSrank=1


AND

며칠 전, 강의+자문 요청이 들어왔다.

그 업체에서 자사 엔진 위에 사용자 변경이 가능한 script를 올리고 싶은데, script 언어들에 대한 대략적인 소개 및 비교를 하고, 요구사항들에 대한 가능성, 디자인 등에 대한 조언을 요청한 것이었다.

남 앞에 서는것도 별로 안 좋아하고 방콕 스타일인 나에겐 일상적이지 않은 일이기에 심사숙고를 하다가, 진행하기로 결정하고 오늘 다녀왔다.

첫번째 시간은 2시간 동안 진행되는 강의세션, 두번째 시간은 2시간 동안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논의 세션으로 진행했다. 개인적으론, 양쪽 모두 원하는 바를 얻은 유익한 시간이었다고 생각하고 있는 중이다... :)

아래 자료는 내가 맡은 부분들에 대한 발표자료들이다. 언젠가 쓸모 있지 않을까 해서 slideshare에 올려 놓았다 ㅎㅎ




ps. C binding쪽의 발표를 맡은 최동진선임도 밤 늦게까지 수고 많이 하셨어요.



AND

CSS 2d transform을 이용해서, mobile platform을 이용하지 않고 scratch부터 작성한 page transition 예제 몇개입니다.
select나 event연결을 위해서 jQuery는 약간 썼으며, 그 외의 파일을 import하지 않습니다.
desktop chrome 상에서와 mobile 상에서의 동작 차이를 비교해 보는 것도 재미있습니다.
(PC에서도 firefox, explorer 상에서는 동작안함. -webkit- prefix 사용했음)


AND

x-y.net에 호스팅하고 텍스트큐브 설치해서 블로그를 운영중이었는데,
직접설치한다고 해서 별로 이점도 없고 관리이슈만 늘어서 티스토리로 이전합니다.
cybershin.x-y.net --> dsphome.tistory.com

물론 도메인은 그대로 유지하므로 큰 변화는 없습니다. (dsphome.net)
aritcle들도 제대로 다 성공적으로 이전되었네요.
다만 댓글들은 누락이 되어버렸습니다.
음, rss 주소도 바뀌겠네요...

원래는 x-y.net에서 도메인도 신청해서 블로그연결까지 원스탑으로 해결했는데,
다른데로 옮기려니 귀찮은 부분이 많은 일이네용.
최대한 간편해 보이는 http://kr.dnsever.com에 가입해서 tistory로 연결했습니다.

이젠 티스토리에서 뵈용~

ps. 이사할때 참고한 글들
http://notice.tistory.com/1679
http://genesispark.net/409#axzz1nqzlX6k0
http://oop-s.com/3
http://notice.tistory.com/777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