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간만에 주말에 영화를 봤습니다.
그동안 영화를 거의 못보고 생활 했었는데,
하나티비 마이컨텐츠로 베오울프(beowulf)를 봤습니다.



모르고 보기 시작했는데, 영화 전체가 다 애니메이션이더군요.
배우들 입장에서 일반영화를 찍는게 더 편할까, 모션캡춰를 하고 목소리를 따로 녹음하는게 편할까 궁금했습니다 :)

안젤리나 졸리를 보는 맛에 아니, 화려한 그래픽 덕에 안졸고 끝까지 재밌게 봤습니다.



결국 사람들과 괴물들과의 싸움이 아니라,
자신의 과오와의 싸움이었걸로 해석이 됩니다.

장면들을 떠올려보면, 괴물들(그렌델이나 용)이 왕들을 죽일 수 있는 기회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살려줬는데 아비들은 자기 자식을 내치다니 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 직접 안 키워서 그런가... --a )

부자간의 싸움은 말로하면 되지 왜 애꿎은 엑스트라들만 죽여버리고 말이죠... :(



그리고,
금용이는 베오울프가 자신의 무용담을 이야기할 때 나오는 바다괴물보다 좀 약해보였습니다 ㅎㅎ
베오울프 뻥이 좀 쎈거 같단 생각도 드네요 :)

AND

helloboy님의 블로그에 정리가 잘 되어있길래 퍼왔습니다.
전 우분투를 써서 설정과 설치가 좀 다르지만,
잘 몰랐던 htaccess rewrite module에 대해서 이제야 대충 감이 잡히네요 ^^


Apache rewrite Module


Apache 는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모듈들을 제공합니다. 이번강좌에서는 Apache의 URL Rewrite 모듈을 사용하기 위한 컴파일,설치와 httpd.conf의 설정방법 그리고 활용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pache 다운로드 : http://www.apache.org

1. rewrite 모듈을 사용하기 위한 Apache 컴파일옵션

Rewrite 모듈을 쓰기위한 Apache 컴파일 옵션은 --enable-rewrite 입니다. Configure 실행시에  --enable-rewrite 만 추가하시면 Apache에서 rewrite 모듈을 사용할 있게 됩니다.

[root@superuser root]# ./cofigure prefix=/usr/local/apache2 --enable-rewrite

[root@superuser root]# make

[root@superuser root]# make install


1. Rewrite 를 적용할 수 있는 범위

Rewrite 설정은 Server Config, Virtual Host, Directory, .htaccess 에 설정할 수 있습니다. Apache 서버 전체에 Global 설정과 특정 가상호스트에만 적용하도록 할수 있고 특정 디렉토리에만 적용시킬수도 있습니다.


2. Rewrite 모듈 지시자

RewriteEngine

설정문법 : RewriteEngine On|Off

Rewriteing 엔진을 사용할지 여부를 설정합니다. 기본설정은 당연히 Off로 되어 있으며 RewriteEngine On 으로 설정하지 않는 이상 Rewritng 엔진을 활성화 시키지 않습니다.


현재 Apache에서 실행중인 모든 RewriteRule을 비활성화 시킬 때 RewriteRule 라인을 주석처리 하기보다 RewriteEngin Off 로 설정하는 것이 더 간편하고 올바른방법입니다.


RewreteLog

설정문법 : RewriteLog FILE-PATH

RewriteLog 지시자는 Rewrite 엔진의 로그를 그록할 파일을 지정합니다.
RewriteLog 파일을 항상 남기기 보다 잘못된 Rewrite 규칙들을 디버킹할 때 사용하기를 권장합니다. 아파치와 마찬가지로 RewriteLog 파일도 방문자수가 많은사이트에서는 감당못할 정도의 로그파일을 남기기 때문에 시스템 여유공간이 많이 없는 시스템에서는 해당 파티션의 하드사용률 100%로 인한 재앙(?)을 불러올수도 있습니다. 다음강좌에서 소개될 로그파일 분석에서 언급하겠지만 로그파일은 유용한 디버깅 도구가 될수 있지만 잘못 관리하면 시스템의 치명적인 악으로 존재할수도 있습니다.


RewriteLog 지시자는 반드시 RewriteLogLevel 지시자와 함께 사용하여야 됩니다.


RewriteLogLevel

설정문법 : RewriteLogLevel Level

RewriteLogLevel 지시자는 RewriteLog 지시자로 설정한 로그파일에 기록할 로그들에 대해 얼마나 자세한 내용을 로그로 남길것인가에 대해 설정하는 지시자입니다.

기록할 로그 Level 은 0 ~ 9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0은 로그를 기록하지 않겠다는 의미입니다. Level 숫자가 높을수록 자세한 로그를 기록합니다


RewriteCond

설정문법 : RewriteCond TestStirng CondPattern

RewriteCond 지시자는 RewriteRule 과 함께 사용되는 규칙으로 RewriteCond 다음에 오는 RewriteRule은 RewrieteCond 에서 설정한 패턴과 일치해야지만 RewriteRule들을 실행한다.


RewriteRule

설정문법 : RewriteRule Pattern Substitution

Rewrite 모듈의 실질적인 Rewrite 규칙들을 적용하는 지시자입니다.

Pattern(Input URL) 을 Subtitution(Return URL)로 변경하기 위한 모든 규칙들은 이 지시자를 사용해서 설정해야 됩니다.


Pattern(Input URL) 에는 Perl 정규표현식을 사용할수 있기 때문에 Input URL 의 규칙을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 강좌에서는 기초적인 정규표현식 사용방법만 다루고 정규표현식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정규표현식에 대한 강좌나 인터넷 문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정규표현식 기초

. : 다수의 한문자

? : 0개 이상의 한문자

* : 0개 이상의 문자 또는 문자열

+ : 1개 이상의 문자 또는 문자열

(chars) : (, ) 안의 문자또는 문자열을 그룹으로 묶습니다. 이 문자그룹은 Substitution(return URL)에서 $N 의 변수로 활용할수 있습니니다.

^ : 문자열의 첫문(열)을 지정합니다.

$ : 문자열의 끝 문자(열)을 지정합니다.

\(역슬래쉬) : 정규표현식에서 특별한 의미로 사용되는 문자의 특수기능을 제거합니다.(예:(, ), [, ] . 등)

{n} : 정확히 n번 반복

{n,} : n번 이상 반복

{n,m} : n 이상 m 이하 반복

[chars] : 문자들의 범위 또는 표현할 수 있는 문자들을 설정합니다.
예) [a-z] : a 부터 z 까지의 소문자, [tT] : 소문자 t 또는 대문자 T

 

정규표현식 단축표현들

[:alpha:] : 알파벳. [a-zA-Z] 와 같은 표현

[:alnum:] : 알파벳과 숫자. [a-zA-Z0-9] 와 같은 표현

[:digit:] : 숫자 [0-9] 와 같은 표현

[:upper:] : 대문자. [A-Z] 와 같은 표현


RewriteRule 플래그

forbidden|F : 요청하는 페이지를 403 에러로 redirect 시킵니다. RedirectRule 이 적용되고 있는 페이지를 일시적으로 사용중단을 시키거나 사용자로 하여금 페이지 접근을 할수 없게 할 때 사용합니다.

) RewriteRule ^/test /home/blog/html/test.php [F]

사용자가 /test 로 접근할 경우 403 에러를 보냅니다.


gone|G
: 요청하는 페이지를 410 에러로 redirect 시킵니다. 410 에러는 페이지가 사라젔거나 존재하지 않는다는 메시지입니다. 이것도 forbidden 과 마찬가지로 RedirectRule 이 적용되던 페이지를 일시적으로 중단시킬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last|L
: 이 플래그가 적용되면 뒤에 어떤 룰이 있더라도 이룰 아래의 규칙들은 적용되지 않고 RewriteRule 을 빠져나가게 됩니다. C, Perl, PHP 프로그램에서 루프를 빠져나가는 break 와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chain|C
: 이 플래그의 결과를 다음 RewriteRule 의 input 값으로 사용합니다.
예)

RewriteRule ^(.+) %{HTTP_HOST}$1 [C]

RewriteRule ^([^.]+)\.domain\.com(.*) /home/$1/public_html$2

이 룰은 사용자 홈의 도메인을 2차 도메인으로 자동설정해 줄 때 많이 쓰는 룰입니다. RewriteRule의 input은 도메인을 제외한 URI 를 인식하기 때문에 도메인까지 인식을 시켜서 다음 RewriteRule 로 체크를 하기 위해 사용한 것입니다.


http://user_id.domain.com/hello.html 이란 요청이 들어오면  /home/user_id/public_html/hello.html 로 redirect 시켜줍니다. 위와 같이 2차 도메인을 이용해 계정 사용자의 홈을 지정하기 위해서는 DNS 세팅이 선행되어야 됩니다.


RwriteRule 설정예

1. http://yourdomain.com/user_id  ->  http://yourdomain.com/home.php?id=user_id

 

RewriteRule ^/([a-zA-Z0-9])$   /home/user_id/public_html/home.php?id=$1

설명 : 도메인(http://yourdomain.com) 뒤에 오는 영문숫자로된 문자열을 지정하면서 그룹으로 묶었습니다. 이렇게 그룹으로 설정된 문자열 Pattern 은 Substitution(return URL) 에서 $1 이라는 변수로 받아 사용하게 됩니다. 즉 http://yourdomain.com/superuser 라는 페이지 요청이 들어오면 실제로는 http://yourdomain.com/home.php?id=superuser 라는 페이지로 redirect 시켜줍니다. 블로그나 카페(동호회) 사이트에서 블로그 사용자의 ID 로 개인 블로그 주소를 부여할 때 http://blog.com/user_id 로 부여해 주지만 실제 실행되는 파일은 이와 같이 redirect 시켜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2. http://yourdomain.com/daum  -> http://www.daum.net

RewriteRule ^/daum$  -> http://www.daum.net

설명 : http://yourdomain.com/daum 라는 페이지 요청이 들어오면 도메인이 다른 http://www.daum.net 이라는 페이지로 redirect 시켜줍니다.



RewriteOptions

설정문법 : RewriteOptions Options

현재 사용할 수 있는 option 은 MaxRedirects=number 를 사용할 수 있으며 설정된 number값에 도달하게 되면 500 Internal Server Error 를 남기고 RewriteRule을 종료합니다.

잘못된 RewriteRule에 의한 무한 루프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시스템이 이유없이 다운된다거나 할 때 이 옵션과 Log 기록을 참고하여 디버깅 및 시스템 다운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 지사자는 Apache 2.0.45 이상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실제 적용예

가상호스트 blog.xxx.ac.kr 에 대해 Rewrite Rule을 적용한 예입니다. 이 부분은 실제 운영되는 블로그 사이트를 위해 RewriteRule 을 적용한 예입니다.


DocumentRoot /home/blog/html

ServerName blog.xxx.ac.kr

# 여기까지는 일반적인 가상호스트 설정입니다.

RewriteEngine on

# RewriteRule을 사용하기 위해 On 으로 설정합니다.

 

RewriteLog /home/blog/rewrite_log_admin3.log

RewriteLogLevel 9

# Rewrite 실행중 Log를 남기기 위해 로그파일과 로그레벨을 지정했습니다.

 

RewriteRule ^/tb/([a-zA-Z0-9]+)/([0-9]+)$ /home/blog/html/blog/trackback\.php\?id=$1&post_no=$2

# 위설정은 블로그에 등록된 포스트의 트랙백 주소를 부여하기 위해 설정한 RewriteRule 로써 Pattern에 두개의 그룹이 존재하고 return URL에 순서대로 각 그룹을 $1 과 $2 로 받아 GET 변수로 치환한것입니다.

 

RewriteRule ^/xml/([a-zA-Z0-9]+)$ /home/blog/html/blog/rss_feed\.php\?id=$1

# 각블로그별 RSS 주소를 실제 파일로 지정한것입니다.

 

RewriteCond %{REQUEST_URI}     !^/admin$

RewriteRule ^/([a-zA-Z0-9]+)$ /home/blog/html/blog/main\.php?id=$1

# 먼저 RewriteCond 로 실제 존재하는 admin 이라는 디렉토리를 이어지는 RewriteRule에서 제외시키고 http://domain.com/user_id 로의 요청을 모두 /home/blog/html/blog/main.php?id=user_id로 redirect 시키는 룰입니다.

 

RewriteRule ^/([a-zA-Z0-9]+)/([0-9]+)$ /home/blog/html/blog/main\.php\?id=$1&post_no=$2

# /user_id/1345 로 요청하는 페이지를 /home/blog/html/blog/main.php?id=user_id&post_no=1345 로 redirect 시키는 룰입니다.

 

 

4. 마치면서

위에서 언급한 RewriteRule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상황에서 RewriteRule을 잘 활용한다면 아주 유용하게 웹페이지를 컨트롤 할수 있습니다.

RewriteRule 을 세팅하기 이전에 반드시 정규표헌식에 대해 어느정도 공부한후 적용해 보실 것을 권합니다.

AND



"내 인생의 결정적 순간"이란 책이 요즘 사무실 책상 위에서 약 3주째 살고 있다.
후딱 읽고 반납해야하는데, 이 책은 이상하게 읽혀지지가 않는다.

이 책에는 시골의사이자 투자 전문가로도 잘 알려진 박경철, 벤처 기업가 안철수부터 시작하여 소설가 양귀자, 시인 김용택, 아나운서 강영은, 성우 배한성, 변호사 박원순, 방송 작가 예랑 등에 이르기까지 각 분야에서 일인자로 손꼽히는 23인의 명사들이 자신의 인생에서 가장 결정적 순간이라 말하는 경험들이 모아져 있다.

다른 사람 인생의 '결정적 순간'을 알면 내 인생에 뭐가 도움이 될까?
다른 사람의 인생을 바꾼 순간과 동일한 순간이 내 인생에 일어날 가능성은 무지 적을텐데 말이다.

나는 사람들의 인생에서 성공으로 도약하게된 한 순간이 존재하리라고 보지 않는다.
그 순간은 그전부터 끊임없는 노력을 해 왔기 떄문에 빛을 발하게 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 순간보다는 그 순간의 포석이 된 노력들이 더 중요한게 아닐까?

즉, 우리는 훗날 언제 다가올지 모르는 성공을 위한 준비를 끊임 없이 해야 하는 것이고,
혹은 성공의 준비조차 불확실하다면 그 준비의 준비를 진행 해 나아가야 하는 것이다.
AND

2008/3/13일자 Weblog.

웹로그 2008. 3. 13. 11:08
Encoding Detector ( python )
http://chardet.feedparser.org/
Mark Pilgrim님의 chardet입니다.
웹문서들을 보다보면 인코딩이 뭔지 몰라 당황스러울때가 가끔 있는데요.
그럴때 쓰면 가뭄의 비가 따로 없죠~ :)
( 저보다 파이썬레벨이 942배쯤 높은 류책임님의 추천으로 알게된 사이트)

CSS 테이블 겔러리
http://icant.co.uk/csstablegallery/index.php?css=2
가끔 테이블 꾸밀 필요가 있을 때 갖다 쓰고 있습니다...

Webpage Tempate들
http://www.free-css-templates.com/
저처럼 디자인센스가 없는 사람들에겐 필수적인 사이트죠...
울나라처럼 그림 더덕더덕붙은 풍은 아니지만... 전 이런 페이지가 더 좋네요~
AND

며칠 전에 소개 드린 me2book 서비스에 전체댓글보기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 http://dsphome.net/me2book )

메인화면의 최근댓글보기만으론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ㅠ,.ㅜ;

우측상단의 "View Comments"를 클릭하시면 전체댓글보기 화면으로 가게됩니다.



오른쪽 구글광고는 딱히 오른쪽 란에 넣을게 없어서 넣었습니다 --;
카운터 정도로 생각해 주세요 ㅋ

앞으로 댓글과 선호도 정보가 좀 더 쌓이면,
Tour(가칭) 서비스도 붙여볼까 합니다.

현재는 특정책을 고르면 그에 관련된 도서들과 선호도, 댓글만 나오고 말지만...

선택된 책을 기준으로 어떻게 다른 분들이 추천을 했는지 쭈~욱 책들을 나열해 주는 것이라고 막연히 생각하고 있습니다 :)
( 나중에 제 생각이 어떻게 바뀔지 모르겠습니다만... )

ps. 큭, me2day와의 연동에 대한 의견을 몇 분께서 주셨는데요...
     과연 로그인을 해서 연동을 해야하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고민을 좀 더 해봐야 할듯 합니다... /고민 /먼산
    

AND

와우에는 전사, 사제, 마법사, 흑마법사, 성기사, 주술사, 드루이드, 도적, 사냥꾼 등 여러 직업이 있다.

아마도 이 직업들 중 자신은 물론 다른 직업들을 가장 잘 해야하는 직업은 아마도 전사일 것이다.
(인던 내에서 리딩을 가장 자주 하게 되므로...)

그러나 전사보다도 타 직업들을 잘 이해해야할 직업이 있으니,

그것은 바로 공격대장이라는 직업이다 :)


그림출처:와우인벤 - 추억의 네파리안 ^^


와우의 공격대는 최소 10인, 일반적으로 25인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언제나 풀파티를 유지하기 위한 인원까지 더한다면 공격대 인원은 좀 더 많아질 것이다.

공격대장은 사실 자신이 힐링을 더 잘하거나 딜링을 더 잘하는 것을 신경쓰기 보다는,

전략/전술 및 인간관계를 관리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즉, 사람들 잘 관리하고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각 직업들 마다의 장단점을 이해하고, 개개인의 (전투)특성을 확실히 알고 있어야

어떠한 상황에서 문제가 무엇인지, 극복을 어떻게 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아무리 공격대가 잘 나가는 동안은 공격대원들이 머물러 있겠지만,

조금이라도 주춤하는 순간, 모두 다른 공격대로 떠나갈 것이다.


ps. 공통적인 이야기만을 적으려하니 생각보다 분량이 적어지네요...

ps. 공격대 생활을 되살리며 짤방 하나... 후... :|

마법사 공격대장 아저씨의 포스가 ㅎㄷㄷ...
AND

책에게 나를 보낸다! Me2Book 서비스를 오픈했습니다.
이 서비스를 구현하게 된 동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동안 제가 느낀 기존 도서 서비스의 단점이 몇 가지 있습니다.

1. 책을 산 사람들이 어느 책을 샀는지 볼 수는 있지만,
  책을 사지 않고 추천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 고로, 정보가 너무 적다... )
2. 리뷰를 간단하게 쓰고 싶을 때, 로그인을 하기 귀찮다.

그래서 간단하게 위의 단점들을 보완할 방법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1. 책을 사지 않고도 책을 추천할 수 있어야 한다.
  ( 그러면 정보가 많아 질 것이다... 집단지성의 힘을... --b)
2. 로그인 없이 쉬운 댓글을 달 수 있어야 한다.

등이 될 수 있는데요.

간단하게 한번 시도해 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
주말에 올인해서 구현을 해 봤습니다. (초보 주제에 말이죠 --;)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http://dsphome.net/me2book

주요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면,

1. 원하는 책을 검색한 후 [연관도서 및 자세히 살펴보기]를 클릭하면,
  해당 도서를 구입한 사람들이 추천한 도서들의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2. 물론 직접 어떤 도서를 다음에 봐야 하는지 추천을 할 수도 있습니다.

3. 또한, 해당 도서에 대한 선호도를 [Up] [Down]을 클릭해서 우선순위를 내리고 올릴 수 있습니다.
  다만, 한 명(ip주소) 당 한 도서에 대해서 한 번만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4. 해당 도서에 대한 댓글을 보고, 간단한 의견을 달 수 있습니다.

5. 지름신이 오실 경우, 책제목이나 책그림을 클릭하면 도서사이트로 갑니다.


그림을 곁들여서 다시 한번 설명드리면,
http://dsphome.net/me2book에 접속 하시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뜹니다.
원하는 도서명을 검색창에 치고 검색을 누릅니다.
( like 질의를 사용하므로 도서명의 일부만 치셔도 됩니다. 최대후보는 100개입니다.)


이제 도서검색결과가 나옵니다.
원하는 도서를 골라서 [연관도서 및 자세히 살펴보기]를 클릭합니다.
그냥 이미지를 클릭할 경우에는 외부 도서사이트가 뜨게 됩니다.


자, 그러면 왼쪽에는 본래 책 이미지와 이 책에 달려있는 댓글들이 나오고,
아래에는 댓글을 달 수 있는 입력폼이 보이죠.
로긴 없이 그냥 댓글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여기에 달린 댓글을은 메인화면에서도 최근댓글에 노출됩니다...

오른쪽에는 이 책을 산 분들이 다음에 산 책들이 쭉 나옵니다.
각 책들을 강추하고 싶으시다면 [Up] 혹은 [Down] 버튼을 눌러서 선호도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한 책에 대해서 한 ip당 한번만 선호도 조정이 가능합니다 :)


또한 임의로 연관 도서를 추가할 수도 있는데요~
오른쪽 연관도서들의 하단에 보면 도서 검색하는 폼이 보입니다.
여기서 도서를 검색해서 해당 도서의 연관도서로 추천할 수 있답니다.
이 연관도서 정보도 메인에 최근정보가 노출됩니다.



버그나 새로운 의견이 있으실 경우 이 포스트의 댓글로 달아주시면,
제 능력 안에서의 일이라면 시간 날 때 작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

me2book 사이트의 contact us를 누르시면 이 포스트로 오게 됩니다.


PS.
- APM 초보라 많이 허접합니다 --; PHP 입문하고 약 2주 걸린거 같네요 ㅠ,.ㅜ
  제 실력이 나아질수록 룩은 조금씩 바뀔 것 같습니다...
  게다가 싼 호스팅상품을 쓰다보니 제약이 ㅎㄷㄷ이군요...
  그래도 머 죄다 아웃링크이니 트래픽은 충분할듯합니다.

- 현재 확보한 책 정보가 10만권 정도뿐입니다.
주기적으로 새 책들을 확보하는 루틴을 돌릴 예정입니다.
책은 새로운 도서가 그리 많이 들어오지 않으니까요.
그리고 책 정보는 여기저기 도서 사이트를 긁은 결과이며,
이미지는 모닝365에 있는 경우에만 보이며 모닝365에 없으면 no image 표시로 나가게 됩니다.
( 사실 알라딘에선 너무 심하게 긁어서 제 ip가 벤 당했어요 흙... ip 바꿔야되나...)


- 혹시라도, 사용자가 많아질 경우에는 따로 도메인을 따는 것도 생각중입니다 :)
현재는 주소가 좀 길죠. 즐겨찾기 해주세요 ㅠㅜ;

- 댓글에 captcha 기능을 붙이지 않았는데요,
스팸이 많이 들어온다고 느껴지면 붙이도록 하겠습니다~
AND

2008/3/5일자 Weblog

웹로그 2008. 3. 4. 15:01
Flickr를 이용한 재미있는 captcha
http://www.eeenmachine.com/flickcha-php4
플리커 이미지를 순서대로 클릭해야만 하는 captcha입니다.
재밌네요 :)

AND

아래는 파주 보광사의 주지스님의 말씀이신데요.

마음이 흔들리는 분들에게 좋을 것 같습니다 :)

그래도 회사와 도를 닦는 것과는 좀 다른 것 같네요... ^^



못생긴 나무가 산을 지킨다.


산중에 있는 나무들 가운데

가장 곧고 잘생긴 나무가

가장 먼저 잘려서 서까래 감으로 쓰인다.



그 다음 못생긴 나무가

큰 나무로 자라서 기둥이 되고

가장 못생긴 나무는 끝까지 남아서

산을 지키는 큰 고목이 된다.



못생긴 나무는

목수 눈에 띄어 잘리더라도

대들보가 되는 것이다.



너희들도 산중에

수행하는 사람이 되려면

가장 못난 사람,

재주없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그래야 산을 지키는 주인이 되고

불교계의 거목이 되는 것이다.

부디 초발심에서 물러나지 말아야 한다.



- 효림 스님의 《힘든 세상, 도나 닦지》 중에서 -
AND

와우 내에서는 공격대라는 조직이 있다.
일반적으로 와우 내에서 길드는 친분을 위해 모이지만,

공격대의 목적은 10명 혹은 25명이 모여
그 규모에 알맞게 디자인된 인스턴스던전(이하 인던)에서
보스 몬스터들을 잡는 것이 목적이다.
(물론 길드가 공격대의 성격을 띨 수도 있다.)


출처:와우인벤 ( 역시 너만한 우버몹은 없는거 같다 라그야... )

즉, 공격대원의 목적은 주로 다음과 같다.

1. 여러운 공략을 팀웍을 맞춰 클리어하며 얻는 기쁨
2. 아이템을 얻는 기쁨

이러한 목적은 회사(원)의 목적과도 어느정도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1. 프로젝트를 팀원들과 함께 성공하며 얻는 기쁨
2. 금전적 이익 창출

일반적으로 공격대의 목적이나 공격대원들의 목적은 1번보다는 2번이 많은 편이며,
아이템을 공평하게 나누기 위해서 공격대마다 보상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비정기적으로 모이는 공격대원들은
멤버들 중 100%운에 기초하는 주사위를 굴려 높은 숫자가 나온 사람이 아이템을 얻는 방식과,
골드(게임 내 화폐) 경매 방식으로 아이템을 얻는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그러나 정기적으로 모이는 공격대원은 위와 같은 방식은 거의 사용하지 않고,
마치 회사의 인사제도와 같이 포인트 제도를 운영한다.

개개인의 포인트를 쌓는 조건은 공격대마다 약간씩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식들의 조합을 사용한다.

- 정시 참석을 하게되면 포인트 지급
- 보스 몬스터를 잡게 되면 포인트 지급
- 정해진 시간까지 모두 참석하면 포인트 지급
- 보스 몬스터를 못 잡았지만 너무 고생을 한 경우 포인트 지급
- 공격대를 위해 매우 비싼 물품을 기부한 경우 지급

공격대마다 위의 방식들을 적당히 조합하여 포인트 제도를 만들고,
개개인에게 지급하다가 각자 원하는 아이템이 나온 경우에는
포인트로 경매제를 하거나 고포인트 자에게 해당 아이템을 넘겨주고 포인트는 소진하게 한다.

최대한 공격대에 기여한 대원에게 혜택을 돌아가게 하고자 하나,
사람들의 일이 이렇게 간단하게 풀릴 수 있을리가 없다.

게다가 아무리 객관적으로 룰을 정해도,
모두에게 수긍시킬 수는 없을 것이며,
또한 아이템들에 대한 시각이 각 직업마다 다르기 때문에,
언제나 분쟁의 소지는 남아 있다.

회사도 마찬가지이다.
회사의 이익에 가장 기여를 많이한 사원에게
금전적보상과 승진기회를 주는 것이 당연한 것이지만,
회사의 금전적 이익을 회사원들의 추상적인 노력과 능력으로 환산하는 과정과 결과는
개개인에게 100% 동의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언제가 논란이 끊이길 않는다.

공격대 생활과 회사 생활을 하면서 느끼는 점은
룰로 모든 것을 정할 수는 없으며,
게임이나 현실에서나 가장 중요하고 결국에 남는 것은
결국 사람, 인간관계란 것이다.


ps.
상당히 적었는데도, 아직 원하는 이야기를 다 못한 것 같다. --;

다음에는 "공격대장, 클래스장과 팀장(PL), 부팀장(subPL)의 공통점",
" 공격대 이동 및 구직/이직의 공통점" 등에 대해서 졸릴 때 쓰도록 할까 한다.

AND